반응형

복령 3

불면증(수면장애) - 산조인과 복령으로 다스리기

불면증 치료에 도움이 되는 약차 【 산조인복령차 】 산조인과 복령은 심장을 편안하게 해주고 과민해진 정신 활동을 안정시켜 숙면에 도움이 됩니다. 산조인은 멧대추 씨앗인데 볶아서 써야 불면증에 효과가 있습니다. 각 4g씩 넣어 차로 마시면 됩니다. 만약 심리적인 화가 많이 있다면 치자나 황련을 2g 정도 더하면 좋습니다. 사람마다 차이는 있지만 사는 동안 머리부터 발끝까지 몸의 곳곳에서는 다양한 문제가 발생합니다. 불교에서는 온갖 번뇌와 고통이 가득한 세상을 불이 난 집에 비유하는데, 어떻게 보면 살아가는 동안 크고 작은 병이 생기는 몸은 병택(病宅)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입니다. 그 병의 불길이 별것 아녀서 잠시 “앗! 뜨거워.” 하고 끝나기도 하지만 때론 몸과 마음을 모두 불태워 버리기도 합니다. ..

할아버지, 할머니를 위한 약차 - 인삼/복령/당귀

노년기가 되면 인체의 전반적인 기능이 저하되기 때문에 부족한 기혈을 보충해 주는 것이 중요해집니다. 하지만 몸에 들어온 것을 처리하는 장부의 기능 또한 약해져 있으므로 먹는 음식도 진하고 자극적인 것보다는 담백한 것이 좋고 약을 쓸 때도 순하고 부드럽게 하는 것이 좋습니다. 어르신들을 위한 약차 또한 몸을 순하게 보하고 편안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인삼, 복령, 당귀 각 4그램, 감초 2그램 인삼과 당귀는 기혈을 가볍게 보하고, 복령은 체액의 순환을 돕고 정신적인 안정에 도움이 됩니다. 감초는 약을 조화시키고 소화기의 작용을 돕구요. 전체적으로 평하게 기혈을 보할 수 있기 때문에 노년기에 남녀 불문하고 이용할 수 있는 약차입니다.

엄마와 딸을 위한 약차 - 백작약/당귀/복령, 시호/백작약/복령

한의학에서 여성은 남성과 비교할 때 음(陰)에 속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음의 성질을 가진 여성은 체액의 순환이 정체되고, 혈이 부족해지기 쉬운 특징이 있고, 남성에 비해 감정에 의해 기의 흐름이 원활하지 않아서 생기는 병(대표적으로 화병)이 많습니다. 또한 여성은 월경을 하고, 폐경이 된다는 생리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는데, 여성을 위한 약차는 이러한 점들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당귀, 천궁 각 4그램여성은 항상 혈이 부족하고 그 순환이 정체되어 생기는 병이 많습니다. 당귀와 천궁은 혈을 보하고 그 순환을 좋게 합니다. 또한 이러한 작용은 골반 내 혈액순환을 좋게 해서 생리통의 개선에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여성을 위한 기본적인 약차입니다. 백작약, 당귀, 복령 각 4그램 여성 특히 ..

반응형